본문 바로가기
Tech

[Tech] Network 용어(3) Network Command Prompt(CMD)

by jjaihyun 2024. 1. 9.

[Tech] Network 용어(3) Network Command Prompt(CMD)

 

[Tech] Network 용어(3) Network Command Prompt(CMD)

지난 두 번의 글에서 IP 어드레스와 DHCP에 관해서 정리하면서 네트워크에서 IP를 설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나 디바이스 정보 등을 파

ablitzdesign.wordpress.com

지난 두 번의 글에서 IP 어드레스 DHCP에 관해서 정리하면서 네트워크에서 IP를 설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나 디바이스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명령어인 Network Command Prompt(CM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MD는 간단하게도 Command의 줄임말입니다. 컴퓨터에 관해서 일가견이 있는 분이라면 잘 알고 익숙하게 사용하는 명령어지만, 저같은 컴알못에게는 딴 세상 말같은 어려워 보이는 글자들입니다. CMD를 간단하게 정의 하자면 컴퓨터 내부 시스템 명령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서 원하는 정보를 얻거나 실행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 CMD에 관해 깊게 다룰 생각은 없습니다. 조명 네트워크를 관리하면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CMD중에서 몇 가지를 정리할 생각이니 포기하지 말고 따라오세요. 참고로 여기에서는 윈도우 운용체제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맥이나 리눅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다를 수 있습니다.

CMD Icon

실행방법
명령어 프롬프트(CMD)실행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윈도우 창을 누르고 [ 시작 프로그램 -> 모든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실행]을 차례대로 누르면 명령어 프롬프트(CMD)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두 번째 방법은 [ 윈도우키 + R ]동시에 누르면 나타나는 실행창에서 cmd를 입력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명령어 프롬프트(CMD) 창은 아주 오래전 DOS 프로그램을 사용해 본 세대에게나 익숙한 검정색 바탕에 흰색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러가지 복잡한 설명을 건너뛰어 바로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프롬프트(CM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부터 설명하는 몇 가지 명령어만 잘 활용해도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나 디바이스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ing
네트워크 명령어 프롬프트(CMD) 중에서 가장 유용하고 자주 사용하게 될 명령어는 ‘ping’입니다. Ping은 네트워크 상에서 상대방의 네트워크 장비 혹은 디바이스까지 통신이 잘 되는지 확인하고 연결 속도가 얼마나 나오는지 알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갑자리 인터넷 속도가 저하되거나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면 ping 테스트를 통해서 인터넷 회선을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Ping이라는 명령어 다음에 상태를 알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하면 연결 상태를 알 수 있는 데이터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 명령어는 IP 어드레스뿐 아니라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ing http://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에서 [패킷: 보냄 = 4, 받음 = 4, 손실 = 0 (0% 손실)] 이라는 결과를 통해서 테스트 패킷을 4번 보내서 4번 모두 반응을 받은 것으로 손실이 없다는 것입니다. 만약 ‘Request timed out’이라는 메세지가 나오거나 lost 패킷이 있다면 네트워크 연결애 문제가 있거나 해당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pconfig
내가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어뎁터와 연결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보고 싶을 경우에는 ‘ipconfig’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CMD 창을 열어 ipconfig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네트워크 환경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IP 어드레스, 서브넷 마스크는 물론이고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ipconfig /all’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LAN Card 모델명, MAC Address, ip address, DHCP, DNS등 여러가지의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ipconfig /release & ipconfig /renew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가 작동하지 않거나 연결이 불안정하다면 ipconfig를 통해서 재설정 할 수 있습니다. 특히 DHCP를 사용하고 있다면 서버로 부터 새로운 IP를 자동으로 부여받아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원래 ‘ipconfig /release’를 통해서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ipconfig /renew’로 다시 네트워크에 연결을 해야하지만 ‘ipconfig /release & ipconfig /renew’를 입력하여 동시에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getmac
“getmac”은 네트워크 어뎁터의 MAC 어드레스를 손쉽게 알아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MAC 어드레스는 ‘Media Access Contr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카드 하드웨어에 부여되는 고유한 물리적 주소로 ‘Physical Adress’라도도 합니다. 모든 네트워크 장비나 랜카드는 고유한 MAC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할 때 서로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일종의 주소 역활을 담당하는 것이 MAC 어드레스입니다. 48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12개의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MAC와 IP 어드레스는 둘다 고유한 주소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IP 어드레스는 사설 IP 주소로 겹치는 경우가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로 외부와 통신을 하면 IP 주소만으로 해당 컴퓨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MAC 어드레스는 유일한 주소로 겹치는 경우가 없이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arp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를 한번에 찾아볼 수 있는 가장 좋을 방법은 “arp”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CMD 창에 “arp -a”를 입력하면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IP 와 Mac 어드레스를 한번에 보여줍니다. IP 어드레스는 서브넷 마스크의 설정에 따라 같은 숫자로 시작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에 정리한 몇 가지 명령어 외에도 아주 많은 명령어가 있지만 저처럼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분이 아니라면 이런 몇 가지만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작업을 하다보면 간단한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알지 못해 답답한 경우가 많습니다. 아는 만큼 보이고 알아야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습니다. 복잡해보이고 어려워 보이지만 알고나면 단순한 것도 많은 법이죠. 포기하지 말고 하나하나 익혀나가다 보면 금방 익숙해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ch] Fiber Optic Network (2)  (51) 2024.01.17
[Tech] Fiber Optic Network (1)  (43) 2024.01.15
[Tech] Network 용어(2) DHCP  (41) 2024.01.08
[Tech] Network 용어 (1) IP Adress  (39) 2024.01.04
[Tech] LED 조명의 수명 (2)  (31) 2024.01.03